문림의향의 향맥을 지키며,장흥의 문화를 일구어 갑니다

장흥문화원(문림의향 장흥설화)

문림의향 특집

[문림편] 고산향약계

장흥문화원 2017. 9. 7. 16:16

 

 

 

고산향약계
▶ 관산읍의 이전 행정명인 고산(관산의 옛지방) 향약계에 관한 이야기. 1867년에 창계한 향약계의 구성 마을명, 규약, 세칙사항 들을 담고 있다. 이후 고산면이 고하면으로 분리되면서 14마을이 빠져나가서 따로 향약을 만들게 되었으나 이는 도중에 없어지고 고산향약계만 현재까지 70여 명의 계원들로 구성되어 운영되고 있다는 이야기다.

 

 

고산향약계는 지금으로부터 150년 전에 창계돼 갖고 지금까지 이어져 온 계인데, 우리 고산향약계는 1867년 고종 4년에 27개 마을이 70냥 6전을 갹출해가지고 돈을 모금해가지고 창계를 하면서 절목을 그때 만들었는데, 절목이라는 것은 요새 말하자면 계칙, 계 회칙이제이? 약규를 만든 거여. 이때 참여한 마을이 있어. 그것이 중요하다고 봐. 지금 우리가 모르는 마을이 있어. 도저히 찾을 수 없는 마을이 150년이 되니까 변해가지고. 방촌을 비롯해서 학교, 옥동, 옥산, 지북, 석정, 당동, 평촌, 반암, 와룡, 산저, 축내, 흥지, 중산, 신평, 죽곡, 원천, 죽천, 성남, 덕전, 회산, 농소, 송현, 동두, 상현, 우산, 추천리 이래갖고 스물일곱 마을인데, 지금 없어진 마을이 석정마을, 반암마을, 축내마을, 죽천마을 이런 마을이 없어져버렸어. 그런데 장소는 있는데 없어져 분 마을들이고, 아까 없어진 마을 중에서 어디가 그 마을이 있었는가를 전혀 모르는 마을이 반암마을이여. 축내마을. 이 두 마을은 지금 어디 지역인 줄을 어른들한테 물어봐도 몰라. 그런데, 내가 추측에, 내가 추측하기로는 반암리는 지금 발암리라고 부르는 지역에 옛날에 김해 김씨들이 대성으로 자자일촌 한 곳이 발암린데, 바위가 여덟 개 있다고 그래갖고 팔암리라고도 하는데, 우리들은 발암리 발암리 그런데 여기가 반암리가 그냥 발암리로 발음이 됐지 않느냐, 그런데 그 마을이 100여 호 쯤 이렇게 살다가 없어져 불었어. 그래가지고 지금은 한 다섯 집 정도나 들어와서 살어. 발암리에가 그란디 이곳이 반암리이지 않느냐, 이렇게 여기 소재지에서 칠량선으로 가는데 한 1.5킬로 쯤 가면 도로변 거기가 지금 주택이 몇 개 들어섰는데, 거기가 발암리라고 하는데, 거기가 반암리가 거기 아니냐 내 나름대로 추측을 하는데, 어르신들한테 물어봐도 전혀 반암리는 기억을 못하시더라고요. 그래 축재마을도 어디가 있는 줄을 모르고, 그런데 삭정리 같은 데는 돌정지라 해갖고 방촌에서 대평으로 넘어가는 골짜기 거기가 삭정리제. 이런 곳은 없어져 있고, 죽천이라고 하는 곳은 대내 대하고 냇갓을 죽천이라 한문으로 이 소재지가 죽교리인데, 죽천이었어 옛날에는, 이름이. 이름이 바뀌었을 뿐이고. 이래서 27개 마을이 70냥 6전을 갹출해갖고 처음으로 향약계를 만들었는데, 그때 고산면이었어. 그 당시에. 그래서 고산향약계다. 이렇게 만들었었는데, 그때는 이 향약서가 면단위 역할도 그때 군단위, 군은 있어도 면단위가 없었을 때 향약 쪽에서 대행을 하지 않았냐 이렇게 추측이 가는데, 현재는 8개 마을 약 한 70여 명이 지금도 그 조직체를 운영하고 있어. 그러면 왜 운영을 하느냐 그러면 자산이, 논이 한필, 600평이 있고, 천여만원이라는 동산이 있어, 지금도. 그래갖고 8개 마을 70여 명이 있는데, 계원이 죽으면 큰 아들한테 승계를 해. 그러니까 150년이 됐어도 지금까지 존속을 한 것인데, 그도 근자에 서울 가 있는데, 승계해 놓으면 뭣 할 것이냐? 그래서 규약을 바꿔가지고 현재는 장흥군에 장남이 거주하면 승계한다, 장흥군을 떠나서 서울에나 광주에가 있으면은 글로 무한다. 인자 이렇게 약조를 바꿔놨어. 그래서 지금 한 70여 명이 계를 운영하고 있다…. 그런데 이 향약은 향리 주민들의 약속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조직체인데 요것은 윤리정신을 기반으로 예속의 보급을 통한 향촌사회의 미풍약속을 진작하고 재난을 대비한 상부상조를 위한 규약으로 이해되면 맞는데 우리 학교 다닐 때 배우는 향약이 있어. 중국에 여씨남전 향약, 그것이 있어 그것이 주자가 훗날 증손 주자 증손 여씨향약으로 발전을 시켰는데, 주자께서 주희가 여씨남전 향약을 증손이라 그 말은 보탤 것도 있고 뺄 것도 있고 그래서 좀 보완을 해서 주자 증손 여씨향약이다 이렇게 만들어갖고 보급을 했어요. 이것을 우리나라에서 도입을 한 거여. 그때. 그래서 도입돼갖고 향약이 전파가 되는데 향약의 기본정신은 학교 다닐 때 우리가 배웠어, 이건 다. 덕업상권, 과실상규, 예속상교, 환란상휼. 이 말은 이 네 가지 강령을 기본강령으로 해갖고 발전을 하는 것인데, 덕업상권은 옳은 일은 서로 권유하며 향풍을 바로잡고 도덕을 함양하자는 것이고, 과실상규는 각자 계원들이 잘잘못을 성찰하고 서로 규제하고 허물을 고치자는 것, 그래서 과실상규라고 했고, 예속상교는 웃어른에 대한 예우와 경조사에 서로 돕고자 한 것, 환란상휼은 질병, 재난에 대비해서 서로 돕고 구하자는 것으로 이해를 하면 된다, 그래서 이 네 가지 강령으로 출발을 했다.우리 장흥에서 실행된 향약은 이렇습니다. 관산읍은 고산면이다 그래갖고 1867년에 창계를 했는데, 지금으로부터 150년 전 일이고, 제일 오래된 향약은 남면향약이다, 남면은 이웃 용산면인데, 거기는 1734년에 창계를 했어요. 그래서 282년이 됐어. 제일 오래 됐어. 그 다음에 부산면, 장흥 부산면은 1883년에 창계해갖고 133년 전 일이고, 용계면은 부산면 일부지역, 장흥 일부지역 이렇게 해당이 되는데, 거기는 1914년에 창계를 해갖고 102년 전에 창계를 했고, 장서면은 지금 장평 쪽이 된 것 같는데, 1884년에 창계를 해갖고 132년 전에 창계를 했어요. 또 부동면은 장흥 일부인 것 같은데, 거기는 1893년에 창계를 해갖고 123년 전에 창계를 했고, 안양면은 1802년, 214년, 그러니까 상당히 안양면도 두 번째로 오래된 214년 전에 창계를 했어. 유치면은 1822년 지금으로부터 194년 전에 세 번째로 오래된 것 같아요. 유치면은. 그러고 우리 고읍면은 1867년, 150년 전 일 이고. 그래서 지금까지 장흥에서 설행된 향약계가 존속이 된 곳은 남면 향약계, 용산면. 용산면하고 고산향약계, 관산하고 그라고 두 군데만 지금까지 존재를 하고 있고, 나머지는 전부 중간에 없어졌습니다. 우리 고산향약계가 처음 창계하면서 이 규약을 살펴보면, 간단하니 말씀을 드리면, 계 운영자금은 각자 갹출한다. 누구한테 도움 안 받고 갹출한다. 그 다음에 그 계금을 식리하는데, 말하자면 요새 말하자면 예탁을 해갖고 이자수입을 하는데, 그때는 색거리라고 해갖고 쌀로 빌려주고 다음 가을에 쌀로 받고, 이자로 해서, 하는데, 양반 축에 드는 사람은 이 책임을 맡지 말아라, 그라고 일반서민이 맡아라. 양반이 맡아갖고 막 마음대로 써 불까 무서우니까. 이렇게 규약을 정해 놨어. 이 자금은 서민이 맡은 제 절대 양반은 맡으면 안 된다. 그라고 규약을 정해놨어. 그것이 특이하더라고. 그라고 책임자는 도유사 한명이고, 별유사 2명이 이것을 운영을 한다, 자금을. 그라고 풍속을 퇴폐시킨 자는 배척을 하고, 배척을 할란디 체면이 곤란한 경우가 있어. 그럴 때는 관에다가 위임한다. 그렇게 또 규정을 해놨어. 또 만약에 공을 빙자해서 사를 경영하는, 자기 사욕을 채우면 과다지출하거나 그렇게 되면 절대 계금에서 지출하지 말어라, 못을 딱 박어놨어. 그래가지고 12월 15일날 강회일자는 연말에, 12월 15일날 강회일자는 그렇게 하고, 강회장소, 요새 말하자면 총회 장소는 그때그때 정한다. 이렇게 절목을 했는데, 말하자면 규칙을 정해놨는데, 그러부터 약 30여 년 26년 후에 1893년에 군수가 부임하는데, 이용태씨라는 군수가 부임을 해서 향약소가 잘 운영이 되어야 군정을 하는데, 도움이 된다, 그래갖고 30냥을 지원을 해. 고산향약계에다가. 그래서 30냥을 지원해갖고 원금 70냥 하고 합해서 100냥을 가지고 다시 안정절목, 안전한 절목, 규약을 다시 만들어. 그 다시 만든 규약이 뭐냐면, 이군수가 지원한 30냥과 70냥을 첨가해서 작계한다, 다시 조직한다, 원금 100냥을 4분 이자로 식리해서 춘추강비에 쓰고, 또 부의금으로 쓴다. 그 다음에 원금은 영구히 고정을 하고, 이익금으로만 지출하되, 부족할 시는 또 거출한다, 원금을 없애서는 안 된다, 하는 것이 딱 계규로, 약규로 되어 있어. 또 약원중, 계원중 부모가 돌아가시면 그전에는 3년상을 하니까 3년상 부의를 해야 되는데, 한번 할 때 2냥씩만 해라. 딱 못이 박혀 있어. 2냥씩 부의할 것. 그 다음에 재정관리는 부정하고 지골이 공동으로 주관한다. 두 사람이, 그라면 총책임자가 도정인데, 부정은 두 번째여. 그랑께 요새 말하자면 부회장하고, 지골이라 함은 총무여, 두 사람이 관장을 해라, 아까참에는 서민이 하도록 했는데, 이번에는 책임자 두 사람이 관장을 해라, 이렇게 또 바꿔졌어. 그 다음에 강회시에는, 총회시에는 약규를 반드시 낭독을 하고, 이 규약을 낭독을 하고, 상읍례를 행한 뒤 개강을 해라. 상읍례는 서로 인사를 하는 거여. 그 다음에 향약계에 관계된 사항은 지골은 도지골, 지골과 도지골이 있는데, 군대로 말하자면 일직사관, 일직사령 이런 식이여. 그래 갖고 도지골한테 보고하면 도지골은 약정, 최고책임자한테 보고를 해갖고 가부를 결정을 해서 결정을 하제, 그냥 밑에서 결정할 일은 아니다. 모든 사항은 최고 책임자한테 보고를 해라, 이렇게 규정이 돼 있고. 약원이, 계원이 죽으면 그 아들로 부명한다, 승계한다, 그 다음에 강회비는 술 한 차례, 또 밥은 세 홉, 찬은 채소로만 간단하니 장만해갖고 총회 회의에 점심식사는 그렇게 해라. 절대 음식은 탐하지 말어라. 이렇게 돼 있고, 이와 같이 약규를 했으니 위약하지 말고, 위반하지 말고 새 사람이 되어라, 하면서 절목을 만들어서 계 운영을 쭈욱 해오다가 1899년, 군수가 또 바뀌어 김택규란 분이 와갖고 쪼끔 해이해진 것 같어, 살펴보니까 향약소들이. 그러니까 50냥을 지원을 해. 그때. 50냥을 주면서 부칙을 내려줘. 그 부 신찬절목이다, 그래갖고 요새 말하면 이것이 부칙이여. 그 부칙을 뭐라고 내려줬냐면 원금 150냥을 4푼 식리해라, 4푼을 식리하고, 춘추강비는 종이대와 사환 노자 말하자면 사환 차비 요새 말하자면 차비제? 노자, 그것하고만 계산해서 지출하고…. 촌장 이하 강생에 이르기까지 각자 서 홉씩 집에서 가지고 와서 점심은 먹어라. 굉장하니 엄하게. 그라고 술은 절대 금지다. 술은 금지해. 그라고 쌀은 자기 것은 자기가 갖고 와서 밥을 해먹는다. 단 지출은 종이대하고 사환 심부름하는 노자만 지출한다, 이렇게 엄하게 부칙을 내려놨어. 그러고 개강시에는 반드시 도포를 착용하고, 동몽들은, 장가 가지 않은 청소년들은 넓은 소매옷을 입고, 상읍례를 반드시 행하고 또 백륵동 강규를 읽고 강에 들어간다, 이라고 규약을 해놨는데, 백륵동 강규가 또 있어. 그거는 남전 여씨 거기서 또 출발한 것인데, 백륵동 강규를 우리도 총회 하게 되면 반드시 우리도 지금도 낭독을 하고 지금 하고 있어요. 한문이라, 나도 계원이기 때문에 나도 주로 강을 많이 하는데, 한글로도 옆에 써놨어. 다른 사람이 할 경우에는 모르는 사람들이 할 때는 또 뭣 하니까. 요새 부모가 돌아가셔놔 갖고 젊은 사람들이 많이 들어와 놔서. 강을 음을 달어 놨어. 다른 사람들 하믄 할 수 있게끔. 그래갖고 지금도 그걸 운영을 하고 있다. 또 이 향약소는 각 서재에서, 아까 말한 각 서당에서 5일 내지 10일 동안 자기가 공부해갖고 이거를 향약소에 와서 바쳐. 큰 훈장한테 바쳐 갖고 합격 여부를 또 인자, 그렁께 각 서당은 초급반이라고 보믄 돼. 초등학교 인자 중급반이 와서 향약소에서 하고. 여기서 나은 데는 향교로 가는 거여. 군단위 향교로. 그래갖고 와서 훈장이 청강을 하고 강생 우열을 채점해갖고 광고를 하고 못한 사람은 징벌을 주고. 그랬어. 권징을 하게끔. 규약이 딱 나와 부러 그라고 여름에는 개강하지 안 한다, 여름방학이 있어. 여름에는 더우니까, 한달간 쉬는데, 그때는 숙제를 내줘. 시, 부, 론, 표 이런 거를 지어서 가지고 오니라, 이렇게 숙제를 내주고, 성현서 이외에는 강독하지 말어라, 이런 것도 부칙에 정해져 있어. 『논어』 『맹자』 이런 것만 읽지, 뭐 다른 것 읽어서는 안 된다. 그라고 딱 못을 백혀 놓고. 또 재난이 있으면 바로 지골들, 각 마을에는 지골들이 있는데, 이웃마을에 빨리 전파를 하고, 또 서로 힘을 합쳐서 도와라, 이웃마을이라도, 또 이렇게 해놓고, 도둑질 한 자는 무조건 계에서 빼라. 추락시킨다. 이렇게 엄격하니 했어. 그래서 이 약규는 1899년, 김택규 군수가 50냥을 지원함으로써 새로운 각오로 부칙을 정했는데, 이 당시에는 훈장 이계반, 사강 정병화, 위계방 이 세 사람들이 개정을 해갖고 지금까지 전해온다…. 그런데, 고산향약계가 이 고상면이 고하면으로 분면이 될 때가 있었어. 고하면으로 분면이 돼갖고 인제, 1894년 4월에 분면 되면서 18개 마을이 떨어져 나가면서 고하향약계가 또 작계가 돼야. 그때 18개 마을은 탑동, 내동, 계동, 산저, 평촌, 신기, 지북, 대평, 산동, 수동, 산정, 동두, 어은, 외약, 우산, 신당, 송현, 산서 이렇게 18개 마을인데, 13년간 운영되어 오다가 1906년에 마지막으로 고하면향약계는 끝을 맺으고 고상면향약계만 지금까지 존속을 하고 있는데, 지금은 이렇게 강도 하고 공부도 하고 해야 되는데, 시대가 이렇게 되니까 그냥 1년에 한 번씩 초면만 하고 이 백륵동 강규만 낭독하고 몇 년 전에는 내가 A4용지 한두 장 정도, 교육 자료 만들어주면서 나눠주면서 설명하고, 이렇게 해오다가 총회가 끝나고 헤어지면서 장소를 보면 나누어준 교육자료가 수장이 널려있어. 놔두고 가버려. 이 교육 시키는 사람도 힘이 빠지고, 죽고 살라 이렇게 해갖고 돈 들여서 용지 복사해갖고 이라고 나눠주니까 뭐인가 하나라도 배우고 가자 하면은 듣는 사람 반, 술에 정신 있는 사람이 반, 그래갖고 한 7, 8년 하다가 요새는 그도 안 하고 백륵동 강규 한번 낭독하고, 재정 관리, 총회, 일반 계마냥 이러고 헤어져버리는데, 너무 아쉬움이 있다, 이런 것을 느끼면서 지금도 다시 뜻있는 사람이 뭐인가 교육자료를 만들어서 1년에 한 번이라도, 총회 때 한 번이라도, 한 가지씩이라도 우리 상식을 전파하고 내 것으로 삼었으면 하는 아쉬움을 갖고 있습니다.

 

 

 


자료번호 / 06_12_02_MPN_20160822_WCR_0003
제보자(구술자) / 위철량(남, 71세, 관산읍 와룡마을)